- 최적 닥나무 소재 생산을 위한 가공방법 개선 소재 표준화 기술 개발
- 닥나무 소재 생산을 위한 pilot화
- 한지제조 전통기술 개선 닥나무 소재 바이오 시트(부직포) 개발
ㆍR&D 분야
- 닥나무 생리활성 물질 활용 기능성(피부가려움증 개선)화장품 액상원료 및 제형 개발, 제제의 가공 생산 (크림형 등)
- 비임상 효능 평가 모니터링
ㆍR&D 분야
- 닥나무 생리활성 물질 활용 기능성(피부가려움증 개선)화장품 개발
- 수요연계형 기능성 화장품 개발(차별화된 고부가 기능성 화장품 개발)
주요내용
수행기관
④ (재)한국전통문화전당 한지산업지원센터
⑤ (재)전주생명소재연구원
사업내용
1차
년도
ㆍ산학연 네트워크 구성
ㆍ수혜기업 방문, 기술 진단 및 보고서 작성
(한지·부직포·화장품 업체)
ㆍ제품 및 디자인 기획
ㆍ통합 마케팅 전략 수립(참여기업/수혜기업)
ㆍ제품 제작 기술지원
- 지표물질이용 추출공정 확립 정보 제공
- 가공과정에서 지표물질조사
(피부가려움증 완화 및 개선)
- 지표물질 안정성 조사
- 지표물질 표준화 및 규격 설정
- 소재 기능성 검증(비임상효능 평가)
2차
년도
ㆍ산학연 네트워크 구성
ㆍ수혜기업 방문, 기술 진단 및 보고서 작성
(한지·부직포·화장품 업체)
ㆍ제품 및 디자인 기획
ㆍ통합 마케팅 전략 수립(참여기업/수혜기업)
ㆍ제품 제작 기술지원
- 지표물질이용 추출공정 확립 정보 제공
- 가공과정에서 지표물질조사
(주름 개선)
- 지표물질 안정성 조사
- 지표물질 표준화 및 규격 설정
- 소재 기능성 검증(비임상효능 평가)
3차
년도
ㆍ산학연 네트워크 구성
ㆍ수혜기업 방문, 기술 진단 및 보고서 작성
(한지·부직포·화장품 업체)
ㆍ제품 및 디자인 기획
ㆍ통합 마케팅 전략 수립(참여기업/수혜기업)
ㆍ제품 제작 기술지원
- 지표물질이용 추출공정 확립 정보 제공
- 가공과정에서 지표물질조사
(코슈메스티컬)
- 지표물질 안정성 조사
- 지표물질 표준화 및 규격 설정
- 소재 기능성 검증(비임상효능 평가)
기대효과
닥나무 소재를 활용한 코스메슈티컬 소재 및 제품의 원천 핵심 기술개발 및 한지관련 산업 경쟁력을 확보
부직포 섬유, 화장품등 피부환경조성 산업으로 한지산업군 확대를 통하여 지역 일자리의 신규 창출 및 확대
닥나무 소재를 원료로 하는 한지제조산업 뿐만 아니라 닥나무 생리활성 물질을 활용한 코스메슈티컬 소재 및 제품이 개발될 경우 신규 소재 및 제품 관련 산업이 창출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
국내 대기업에서 이미 닥나무 생리활성 물질을 활용한 화장품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닥나무 추출 및 가공 관련 기반 기술은 타 산업분야에 응용가능성이 높으며,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이 될 경우 부직포 섬유, 화장품 등 피부환경조성 산업으로 확대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음
이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
이 페이지에 대한 의견을 주세요
(우) 55000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현무1길 20(경원동3가 14-2) TEL 063-281-1500 FAX 063-283-1201